2015/08 5

[인연사랑 캠페인] 가족이랑 친구랑 사이좋게 지낼게요!

“예성이는 꿈이 뭐야~?” 담당 선생님은 한참 후에야 그 대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예성이는 시선을 땅에 떨군 채 바로 옆에 있는 사람도 들릴까 말까 한 조그마한 목소리로 말했습니다. “야구선수가 되고 싶어요….” 예성이가 야구선수의 꿈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까요? 올해 초등학생이 된 예성이는 엄마의 관심과 보살핌이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하지만 예성이의 엄마는 당뇨, 백납증 등으로 몸이 아프고 지체장애 4급 진단을 받은 터라 아들을 돌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 때문인지 예성이는 한글을 깨치지 못했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까지 갖고 있습니다. 예성이는 평소 사람들과 눈도 잘 마주치지 못할 정도로 소극적이고 얌전한 아이지만, 한번씩 돌변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엄마 앞에서지요. 고래고래 소..

Culture 2015.08.31

[건강 레시피] 숙면이 보약!

잠을 못 잔다는 것은 신체적 · 정신적으로 건강이 좋지 않다는 신호다. 대부분 사람들이 잠을 자는 데 특별히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한국인 5명 중 1명은 일주일에 3일 이상 불면 증상을 경험하며, 그 중 당장 치료를 받아야 하는 사람은 10명 중 1명이나 된다. 글 _ 정이안 / 일러스트 _ 벼리 나도 혹시 불면증?! 누구나 걱정거리가 있을 때 한두 번 잠을 설쳐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다면 문제가 가볍지 않다. 잠드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는 사람, 자는 동안 다섯 번 이상 깨는 사람, 자다가 잠깐 깨더라도 다시 잠드는 데 30분 이상 걸리는 사람이라면 불면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4주 이상 지속적으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만성 불면증은..

Culture 2015.08.26

[베스트 여행코스] 꽃보다 싱그러운 가평

가평은 북한강에서 물놀이하기 좋고, 각종 휴양림에서 휴식하기도 좋은 곳이다. 넓은 면적만큼 다양한 오락거리가 있어 가족끼리 친구끼리 부담 없이 다녀오기에 좋다. 의외로 관광지 사이를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올 여름 ‘비전센터 가평’에 머문다면 이를 중심으로 동선을 잘 짜보자. 쁘띠프랑스, 아침고요수목원, 제이드가든, 남이섬 등 가평의 유명한 관광지를 소개한다. 글ㆍ사진 _ 배나영 작가 1 쁘띠프랑스에는 프랑스의 전원마을처럼 꾸며진 낮은 지붕의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다. 2 쁘띠프랑스 야외공연장의 마리오네트 공연은 관람객들에게 인기가 좋다. 어린 왕자야 반가워! 쁘띠프랑스 쁘띠프랑스는 말 그대로 풀이하면 ‘작은 프랑스’다. 이곳에는 프랑스의 전원 마을처럼 꾸며진 낮은 지붕의 집들이 모여 있고, 곳곳에..

Culture 2015.08.21

[인연사랑 캠페인] 따뜻한 세상과 소통할래요!

초등학교 5학년인 서영후 군은 늘 말이 없다. 못하는 게 아니라, 하지 않는다. 함묵증(緘默症) 증세를 보이는 영후 군에게 도대체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 영후는 어려서부터 가정폭력에 시달렸다. 술만 마시면 폭언을 일삼던 아버지와 우울증을 앓고 있는 어머니로 인해 꼭 필요한 말이 아니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았다. 또 낯가림이 심하고 표정이 어둡다 보니 혼자인 경우가 더 많았다. 그래서 교원 가족들이 마음을 모아 영후에게 심리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영후는 일주일에 한번씩 상담사와 만나 미니북 만들기, 점토공예, 요리수업 등을 함께한다. 처음엔 상담사의 질문에 대답은커녕 눈길도 주지 않던 영후의 태도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다. 비록 짧은 말 한마디와 조그만 몸짓이지만 주변 사람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Culture 2015.08.06

[건강 레시피] 직장 여성을 위한 건강 관리법

바쁜 일정을 소화하느라 건강 관리에 소홀해지기 쉬운 직장인들. 특히 일과 육아,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애쓰는 워킹맘들은 자신의 건강에 신경 쓸 틈이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월경, 수족냉증, 임신, 출산 등을 겪는 여성들에게는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한 건강 관리가 꼭 필요하다. 글 _ 정이안 / 일러스트 _ 벼리 한 달에 한 번, 심한 통증을 느낀다면 가임 여성의 90%는 월경 주기와 관련된 증상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특히 스트레스, 카페인, 음주 등에 자주 노출되는 직장 여성은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월경 4~10일 전부터 정서불안, 긴장, 우울증, 두통, 요통, 근육통 등의 정신적·신체적 증상이 생겼다가 월경 시작과 동시에 없어진다면, ‘월경 전 증후군’을 의심해보자. 이 경우, 하루..

Culture 2015.08.06